반응형

종교 12

백중 우란분절이란

백중 : 우란분절 부처님은 모든 생명은 자신이 지은 업에 의해 끊임없이 윤회를 한다고 말씀하셨다. 그러므로 사람이 죽으면 그것으로 끝이 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지은 업에 따라 극락이나 지옥에서 과보를 받기도 하고 다른 생명으로 태어나기도 한다‘. 지장경’에 의하면 사람이 죽으면 9일 동안 자기의 죄와 복을 알지 못한 채 중음신으로 떠돈다고 하였다. 그런데 돌아가신 분은 대부분 나와 인연이 있는 분이다. 평생 은혜를 입고 나의 고통을 대신 받아주며 내가 어려울 때 힘이 되어 주었던 사람들이 이제 이 세상 사람이 아니라는 것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슬픔이기도 하다. 이러한 분들이 죽은 다음에 더 좋은 곳으로가서 평안을 누리기를 기원하는 것은 당연한 의무이다. 돌아가신 조상의 천도를 바라는 정성으로 살아계신..

종교 2023.07.05

정초산림기도란

정초산림기도 불교 신자라면 적어도 부처님을 잘 받들고 그 가르침을 배워서 자신이 스스로 마음을 닦아 부처님을 본받을 수 있는 훌륭한 인간이 되어야 한다. 이렇듯 스스로의 마음을 닦아서 인간다운 생활을 하겠다는 자신과의 약속을 부처님이나 보살님, 신중님들에게 의지해 해결해보겠다는 중생들이 마음의 발로가 바로 기도이다. 불교에서 기도를 드리는 것은 자기의 마음을 다스려 업장을 소멸하고 깨끗하고 정성스런 마음을 가지고 생활하겠다는 자기자신의 확인이고 서원이다. 특히 새해에 올리는「정초 7일 산림기도」는 자신에 대해 지나온 한해 동안에 대한 참회와 새해를 맞는 발원이다. 또한 삼재팔난을 만나지 않고 하는 일이 제불보살과 호법선신의 보살핌으로 순조롭게 이루어 지기를 기원하는 종교의식이다. 새해가 되면 사람들은 새..

종교 2023.06.05

부처님오신날

부처님오신날의 의미 석가모니 부처님은 룸비니 동산의 무우수 나무 아래서 탄생하셨다. 태어나자마자 동서남북으로 일곱걸음을 걷고 난 뒤, 두 손을 하늘과 땅을 가리키면서 사자후를 외쳤다. "하늘 위 하늘 아래 모든 생명 존귀하다. 세계의 고통받는 중생들을 내 마땅히 편안케 하리라" (天上天下 唯我獨尊 三界皆苦 我當安之) 이 외침은 장차 고통에 빠져 허덕이고 있는 모든 중생을 구제하겠다는 선언, 즉 고통의 바다에서 헤매고있는 눈먼 중생들을 위하여 걸림 없이 편안하게 살아갈 수 있는 삶의 방법을 제시하겠다는 선언인 것이다. 부처님의 이러한 선언은 태자의 신분을 버리고 6년간의 고행 끝에 부다가야의 보리수나무 아래서 깨달음을 얻은 후 녹야원에서 처음으로 다섯 비구를 상대로 법을 설함으로 시작하였고, 이후 45년 ..

종교 2023.06.05

생전예수재란

생전예수재 살아있는동안에공덕을미리닦아,사후에지옥등고통의세계에떨어지지않고극락에왕생하고자하는불교의식 생전(生前)-살아있는동안 예수재(豫修齋)-미리예(豫),닦을수(修)공덕을미리닦다 불교에서 살아 있는 사람의 사후를 위하여 공덕을 쌓는 종교의식이다. 49재나 수륙재 (水陸齋)가 죽은 자의 명복을 빌고 그 고혼이 극락왕생할 수 있도록 하는 불교의식인데 반하여, 예수재는 살아 있는 동안에 공덕을 미리 닦아, 사후에 지옥 등 고통의 세계에떨어지지 않고 극락에 왕생하고자 하는 신앙에 의거한 불교의식이다. 예수시왕생칠경(預脩十王生七經)》에는 다음과 같이 설해져 있다. “생전에 예수 7재를 지내는 사람이 있어 매월 초하루 보름에 삼보전에 공양하고 시왕단을 개설하고 이름을 써서 넣되 6조에 고하고 선업동자는 천조지부관 등에..

종교 2023.05.19

대한 불교 조계종에 대해 알아보자

대한불교조계종에 대해 알아보자 종조(宗朝)란 종단을 처음으로 일으킨 스님을 말하는데, 대한불교조계종의 종조는 도의(道義)국사(國師)이다. 도의국사는 통일신라 시대에 입당(入唐)하여 인가를 받고 조사가 되어 신라로 돌아와 이 땅에 최초로 선(禪)을 전한 스님이다. 부처님의 깨달음인 선(禪)을 인도에서 중국으로 처음 전한 분이 초조 달마대사 라면 이 달마대사의 선(禪)을 우리나라에 처음 전한 분이 바로 도의국사이다. 종조(宗朝) 도의국사의 생애와 사상 도의국사는 760년경 지금의 서울에 해당하는 북한군(北漢郡)에서 태어났다. 속성은 왕 씨다. 국사는 부모의 태몽 후 반달이 지나 태기가 있었고 39개월 만에야 태어났다. 출가하여 법명을 명적(明寂)이라 하였다. 도의국사는 784(선덕왕 5)년에 사신을 따라 당..

종교 2023.05.15

5월4일부터 전국 주요 사찰 무료 입장가능

오늘 부터 전국 주요 사찰이 무료 입장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 개정 문화재보호법 시행에 감면비용 국비 지원 국가지정문화재를 보유하거나 관리하며 방문객으로부터 '관람료'를 받아온 전국 65개 사찰이 4일 무료입장으로 전환했다. 민간 단체가 국가지정문화재 관람료를 감면하는 경우 그 비용을 정부나 지자체가 지원할 수 있도록 한 개정 문화재보호법이 이날 시행된 데 따른 조치다. 조계종과 한국불교태고종이 관람료를 공동 징수해 온 선암사와 그간 관람료를 징수했거나 징수가 원칙이지만 유예해 온 조계종 산하 64개 사찰 등 전국 65개 절에 이날부터 무료로 입장할 수 있게 됐다. 국가지정문화재 관람료는 1962년 문화재보호법 제정에 따라 같은 해 징수가 시작됐으며 약 61년 만에 면제로 전환했다. 관람료 감면을 지..

종교 2023.05.04

열암곡 마애불

경주 열암곡 마애불을 바로 세우기 위한 출범식을 2023년 4월 19일에 시작하였다 "엎드린 부처님을 바로 모심은 나를 일으켜 세우는 것이며, 우리 모두의 본성을 회복하는 일입니다."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스님은 19일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조계사에서 열린 '천년을 세우다 추진위원회 출범식'에서 "열암곡 마애부처를 바로 모시는 것은 미래 천년을 세우는 초석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천년을 세우다' 프로젝트는 조계종의 핵심 사업이다. 앞으로 엎어졌음에도 암반과 불과 5㎝ 떨어진 채 기적적으로 원형을 보존해 '5㎝의 기적'으로 불리는 경북 경주 남산 열암곡 마애불상을 원래대로 세우는 일이 사업의 골자다. 열암곡 마애불(烈岩谷大梵鐘)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 열암동에 위치한 대형 석조불상입니다. 이 ..

종교 2023.04.20

불교 삼법인이란

불교 삼법인이란 불교철학의 근간을 이루는 것으로 불교의 삼법(三法)은 불교철학의 근간을 이루는 삼보(三諦)라고도 한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고(괴로움)의 법칙:불교의 첫 번째 법은 불만족스러운 삶의 본성을 가리키는 고의 법입니다. 이 법칙에 따르면 삶의 모든 것은 고통, 불만, 무상으로 특징지어집니다. 이 법칙은 고통의 보편적인 특성을 강조하며 누구도 삶의 도전과 어려움에 면역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즉, 괴로움은 인간 존재의 고유한 부분이며 갈애, 집착, 무지로 인해 발생합니다. ① 제행무상인(諸行無常印):온갖 물(物)·심(心)의 현상은 모두 생멸변화(生滅變化)하는 것인데도 사람들은 이것을 불변·상존하는 것처럼 생각하므로, 이 그릇된 견해를 없애 주기 위하여 모든 것의 무상을 강..

종교 2023.04.05

팬데믹이 불교에 끼친 영향

팬데믹이 불교에 끼친 영향은 엄청나다. 비단 불교만의 문제가 아니라 종교활동 전반에 걸쳐 새로운 방식의 종교접근이 이루어져 왔다 COVID-19 팬데믹은 전 세계적으로 불교 수행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사원 및 기타 불교 센터는 바이러스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강제로 폐쇄되거나 활동을 제한했으며, ​​ 이로 인해 많은 불교도의 수행과 의식이 중단되었습니다. 불교가 지배적 인 종교인 태국과 스리랑카와 같은 국가에서 전염병은 활동 자금을 제공하기 위해 숭배자의 기부에 의존하는 불교 사원의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사찰 폐쇄와 모임 제한으로 인해 많은 사찰에서 기부금이 급격히 감소하여 시설 유지 및 승려 지원이 어려워졌습니다. 팬데믹은 또한 많은 불교도들이 신앙을 실천할 새로운 방법을 찾도록 강요..

종교 2023.04.05

불교 사상

불교 사상은 깨달음과 고통으로부터의 해방을 달성하기 위한 틀을 제공하는 사성제(四聖諦)와 팔정도(八正道)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사성제(四聖諦)는 다음과 같습니다. 괴로움의 진리(고): 붓다는 괴로움은 삶의 본질적인 부분이며 모든 사람이 어떤 형태로든 괴로움을 경험한다고 가르쳤습니다. 괴로움의 원인(samudaya)의 진리: 붓다는 괴로움이 무상하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것에 대한 갈애와 집착에서 비롯된다고 가르쳤습니다. 괴로움의 소멸(nirodha)의 진리: 붓다는 갈애와 집착을 놓아 괴로움을 끝낼 수 있다고 가르쳤습니다. 괴로움의 소멸(magga)로 인도하는 길의 진리: 붓다는 팔정도가 괴로움에서 해탈하고 깨달음을 얻는 길이라고 가르쳤습니다. 팔정도는 다음으로 구성됩니다. 올바른 이해(Samma di..

종교 2023.04.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