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형에 대해 설명을 할까 합니다. 우리가 가장 흔히 사용하는 혈액형은 ABO식 혈액형이죠
그럼 ABO식 혈액형을 처음 고안한 칼 란트슈타이너에 대해 먼저 설명을 시작해야합니다.
Karl Landsteiner는 면역학 분야의 획기적인 연구, 특히 ABO 혈액형 시스템의 발견으로 가장 잘 알려진 오스트리아의 생물학자이자 의사였습니다. 그는 1868년 비엔나에서 태어나 비엔나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1891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학업을 마친 후 그는 비엔나, 프랑크푸르트, 뉴욕 시에서 의사이자 연구원으로 일했습니다.
Landsteiner의 과학에 대한 가장 중요한 공헌은 그가 1901년 비엔나 대학에서 일하면서 ABO 혈액형 시스템을 발견한 것입니다. 그는 서로 다른 개인의 혈액이 섞였을 때 때때로 서로 뭉쳐 면역 반응을 나타내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그런 다음 그는 이 반응이 적혈구 표면에 있는 특정 항원의 존재 때문임을 발견했으며, 이를 A 및 B 항원으로 지정했습니다. 그는 또한 이러한 항원이 부족한 개인의 혈장에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항체가 있음을 발견했으며, 이를 항 A 및 항 B 항체라고 명명했습니다.
Landsteiner의 ABO 혈액형 시스템 발견은 수혈 의학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으며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혈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그것은 또한 면역 체계에 대한 더 큰 이해로 이어졌고 다른 혈액형 체계의 발전을 위한 길을 열었습니다.
Landsteiner는 혈액형에 대한 연구 외에도 면역학과 생화학 분야에 많은 기여를 했습니다. 그는 또 다른 중요한 혈액형 시스템인 Rh 인자를 발견하고 소아마비 백신의 대량 생산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그는 또한 다작 작가였으며 면역학, 생화학 및 관련 분야에 관한 많은 과학 논문과 책을 저술했습니다.
Landsteiner는 1930년에 동료 면역학자이자 생화학자인 Erwin Popper와 공유한 노벨 생리의학상을 포함하여 과학에 대한 공헌으로 수많은 영예와 상을 받았습니다. 그는 1943년 75세의 나이로 뉴욕 시에서 사망했습니다.

ABO식 혈액형
혈액형은 피 속의 세포 표면에서 항원역할을 하는 물질이 무엇인가에 따라 피를 구분하는 방법이다.
가장 널리 알려진 혈액형은 A 또는 B 항원을 가지고 있는지 아닌지에 따라 구분하는 것이다. 두 가지를 모두 가진 경우는 AB형, 모두 가지지 않은 경우는 O형이고, 한 개만 가진 경우는 A형 또는 B형으로 구분한다.
외부에서 피를 주입했을 때 사람의 면역기능에 의해 응집반응이 일어나면 피 속에 덩어리가 생겨 피가 온몸을 돌아다니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AB형의 경우 아무 피나 받아들일 수 있지만 O형은 O형 외에 다른 피를 받아들일 수 없게 된다.
멘델의 유전법칙에 적용시키면 A형과 B형이 각각 동등한 우성 역할을 하고,
O형이 열성인 방식으로 부모로부터 자식에게 유전되는 것이다.

Rh식 혈액형
혈액형을 구분하는 방법 중 ABO식 다음으로 유명한 것은 Rh식 혈액형이다. 서양인들은 전 인구의 약 15%가 Rh-형 피를 지니지만 동양인들은 약 0.5%만이 Rh-형 피를 지닌다. 문제는 Rh-형인 사람이 피가 부족해질 경우, Rh-형 피를 수혈해야 하는 것이다. 오래 전에는 응급상황에 빠진 한국인이 Rh-형 혈액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주한 외국인이 혈액을 공여하여 응급환자을 구하는 미담이 전해지곤 했다.
이외에도 혈액에서 일어나는 응집반응을 기준으로 혈액형을 구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혈액 내 세포나 내용물 중에는 항원 역할을 하여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ABO식만큼 흔히 쓰이는 것은 아니지만 MN식 또는 MNSs식 혈액형, P식 혈액형, 루테란식, 켈식, 더피식, 키드식, 디에고식 등 다양한 혈액형 구분방법이 알려져 있다.
의학 발전에 따라 인체 내 장기 중 하나가 못쓰게 되어 죽음을 눈앞에 둔 경우에 장기이식수술을 통해 사용 가능한 장기를 받으면 생존 가능한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장기이식시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거부반응이다. 공여해도 별 문제가 없는 혈액형을 보유한 공여자로부터 이식수술을 해도 거부반응이 일어나는 것은 조직적합성 항원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항원(Human Leucocyte Antigen, HLA)은 백혈구, 혈소판, 림프구에 공통으로 존재한다. 이것이 ABO식이나 Rh식처럼 적혈구 표면에 존재하는 항원이 혈액형을 결정하는 것과 대비되는 내용이다.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풍과 육풍 (0) | 2023.04.18 |
---|---|
바닷물을 식수로 (2) | 2023.04.14 |
지구에서 달의 뒷면을 볼 수 없는 이유 (0) | 2023.04.13 |
겨울은 여름보다 태양과 지구사이 거리가 더 가깝다 (0) | 2023.04.07 |
상대성이론 (2) | 2023.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