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바닷물을 식수로

동그리15'아빠 2023. 4. 14. 22:48
728x90
반응형
SMALL

바닷물을 식수로 바꾸는 방법을 해수 담수화 기술이라고 한다.

 

우리나라는 강수량은 풍부하나 좁은 국토에 많은 인구가 살고 있어 상대적으로 수자원 여건이 열악한 나라입니다.

 특히 계절별 강수량의 편차가 심하여 홍수기에 이요하지 못하고 흘러가는 물이 많아 실제로는 지역적을 가뭄을 겪고있습니다. 실제로 우리나라 강수량은 연평균 1,300mm로 세계평균의 1.6배에 해당하지만 높은 인구밀도로 인해 1인당 강수총량은 세계평균의 약 1/6에 불과합니다. 이에 심각한 물 부족 국가는 아니지만 물 스트레스 국가로 분류됩니다.

 

 

이에 우리나라는 3면이 바다로 둘러쌓여 일찍이 해수 담수화 기술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면 특히 세계 1위의 담수화 플랜트 기업은 우리 나라의 두산 중공업이다.

해수담수화 분야 세계 1위 기업은  3대 분야 원천기술들을 모두 확보하고 있으면서 세계 시장 점유율이 40%에 달하는 두산중공업이다. 두산중공업은 1978년 사우디아라비아를 시작으로 중동과 중남미 지역에서 28개의 해수담수화 프로젝트를 수주하였다. 1988년 담수화 플랜트 수주를 독자적으로 따내는 데 성공한 이후, 아랍에미리트로부터 수주한 후자라이 담수화 플랜트를 성공적으로 가동시켜 하루 150만 명이 쓸 수 있는 엄청난 양의 담수를 생산해냄으로써 세계적으로 그 기술수준과 역량을 인정받게 되었다.

출처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http://www.gnnews.co.kr)

 

우리나라는 이런 기술을 가지고 있음에도 작년부터 이어져온 최악의 가뭄으로 인해 전라도 전지역이 식수를 구하지 못해 일년내내 부분 단수로 생활하고 있다.

이에 작년엔 일부 전라도 도서 주민들에게 해수 담수화 선박을 이용하여 식수를 공급하기도 하였다.

이 선박에는 바닷물을 여과해 식수로 공급하는 장치가 탑재돼 있다.

바닷물을 배 아래에서 취수해 70기압으로 압력을 가하고 역삼투압방식의 여과기를 통과하면 바닷물의 소금기는 거의 사

라지고 30ppm 정도의 미네랄 등이 남게 되는 기술이 적용되었다고 한다.

하루 300t 식수공급 해수 담수화 선박

 

728x90
반응형
LIST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엘리뇨 라니냐  (0) 2023.04.20
해풍과 육풍  (0) 2023.04.18
지구에서 달의 뒷면을 볼 수 없는 이유  (0) 2023.04.13
겨울은 여름보다 태양과 지구사이 거리가 더 가깝다  (0) 2023.04.07
혈액형  (1) 2023.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