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제로 시대 조력발전으로 다가가자
지구와 달사이의 힘으로 인한
바다의 밀물(만조)과 썰물(간조) 시 발생하는 외해와 내해의 수위차를 이용해 수차 발전기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 방식으로, 바닷물을 가두었다가 댐의 수문을 열어 수력발전과 같은 원리로 전기를 생산한다.
즉, 조석이 발생하는 하구나 만을 방조제로 막고 발전기를 설치한 뒤, 밀물(만조) 때 해수가 들어오면 수문을 열어 방조제 안에 물을 가둔 뒤 수문을 닫는다. 그러다가 썰물이 되면 수문을 열어 가둬 두었던 물을 방류해 발전기의 터빈을 돌리게 된다. 이는 물이 한꺼번에 방류되면서 발전기의 터빈을 돌려 전력이 생산되는 원리로, 해양에너지에 의한 발전방식 중에서 가장 먼저 개발되었다.
현재 개발 가능한 조력자원을 보유한 국가는 프랑스의 랑스(1967년 완공, 용량 20만kW)발전소와 캐나다의 아나폴리스(1986년 완공, 용량 2만kW) 발전소 정도다. 우리나라의 경우 경기도 안산에 소재한 시화호에서 조력발전소가 2011년 8월 전력 생산에 들어갔다. 2004년 12월에 시작된 이 발전소 건립은 2010년 4월 완공되어 단계별 시험운전을 거쳤다. 이 발전소는 50만 명에게 공급이 가능한 하루 25만 4000kW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어 기존 최고 규모인 프랑스의 랑스발전소보다 더 많은 전력 생산이 가능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조력발전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조력발전이란 수력, 풍력 등 지구상에 존재하는 자연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지구상에는 다양한 자연 에너지원이 존재하는데, 이 중에서도 수력과 풍력은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에너지원입니다.
수력발전
수력발전은 댐 등에서 물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식이며, 댐에서 물이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합니다. 수력발전은 대규모로 발전할 수 있어 전력 생산량이 많지만, 댐 등의 건설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댐을 건설할 때 자연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주변 환경에 대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풍력발전
풍력발전은 바람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식입니다.
풍력발전은 풍력 발전기를 이용하여 바람이 회전하는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합니다. 풍력발전은 수력발전과 달리 건설 비용이 비교적 낮고, 자연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풍력발전은 발전량이 일정하지 않고, 풍력 발전기의 크기 등에 따라 발전량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조력발전
조력발전은 이러한 수력과 풍력의 장점을 활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방식입니다.
수력과 풍력 발전기를 함께 설치하여, 댐에서 발생한 수력과 바람에서 발생한 풍력을 동시에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합니다. 이렇게 함께 사용함으로써 발전량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조력발전은 자연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건설 비용도 상대적으로 낮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조력발전은 다양한 곳에서 사용됩니다. 가장 일반적으로는 대규모 발전소에서 사용되지만, 소규모 발전소에서도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시골 지역에서는 가정용 조력발전기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발전소와는 별도로 조력발전은 신재에너지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기 생산뿐만 아니라, 환경 보호와 에너지 자립을 위한 대안으로도 활용됩니다.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문제가 더욱 중요한 이슈가 되면서, 조력발전은 지속 가능한 에너지 발전 분야에서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조력발전은 에너지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지역 사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지역 사회에서 자연 에너지원을 활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면, 그 지역의 에너지 자립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건설 과정에서 현지인과 지역 기업이 참여하게 되면, 지역 경제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